생활단전 - 국선도
유인학 선생님
1998년 문화일보 게재내용
-
(1) 숨과 생명에너지
모든 생물은 氣(기)로 산다.
기가 충만하면 건강하고 활력이 넘친다.
기가 쇠하면 병약해지고, 완전히 흩어지면 생명이 다한다.
생물이 기를 얻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먹이를 통해서고, 다른 하나는 숨을 통해서 얻는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이 음식물을 통해 얻는 기를 穀氣(곡기),
혹은 地氣(지기)라 한다.
또 숨을 통해 몸 속으로 들어오는 기를 天氣(천기)라 부른다.
우주 공간에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天氣가 있다.
우리는 흔히 호흡을 통해서 몸에 필요한 산소만을 공급받는 줄 안다.
산소와 함께 우주의 기운을 들이 마시는 걸 잘 모른다.
실은 음식물의 곡기보다 몇 배 더 많은 천기를 마신다.
호흡을 통해 폐로 들어온 공기는 심장으로 들어가
혈액에 섞여 온몸으로 퍼진다.
반면에 기운은 횡경막을 지나 아랫배로 들어간다.
음식물을 통해 흡수한 곡기도 아랫배에 모인다.
외부에서 들어온 기운이 모이는 하복부를 氣海(기해)
혹은 丹田(단전)이라 부른다.
단전에 쌓인 기운은 經絡(경락·기운의 통로)을 통해
온몸 곳곳으로 흐른다.
단전의 기가 충만하여 모든 경락으로
기운이 활발하게 돌면 매우 건강하게 된다.
그러지 못하면 허약해지고 병에 걸리기 쉽다.
사람은 누구나 숨을 쉬며 산다.
그런데 숨으로 얻는 천기의 양은 사람에 따라 천양지차다.
왜 그런가. 숨을 잘 쉬면 우주의 기운이 매우 풍부하게 들어오고
잘못 쉬면 아주 조금밖에 들어올 수 없기 때문이다.
(2)아기의 숨을 배워라
무엇보다 숨을 잘 쉬어야 우주의 기운 즉,
天氣(천기)를 많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럼 어떤 숨이 좋은 숨일까.
풍부하면서도 깊고 가지런한 숨이 좋은 숨이다.
예를들면 건강한 아기들의 숨이 그렇다.
아기들은 숨을 쉴 때 배를 불룩불룩 내민다.
아랫배가 풍선처럼 자연스럽게 부풀어 오른다.
그것은 우주의 기운이 아랫배 단전까지 풍부하게 잘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런 숨쉬기를 단전호흡이라 한다.
어린 시절에는 누구나 이렇게 단전호흡을 통해서
많은 우주의 기운을 받는다.
그 기운으로 쑥쑥 자라게 된다.
몸에는 활력이 넘친다.
어린이들은 온종일 뛰놀면서도 지칠 줄을 모른다.
가만히 있으라고 하면 좀이 쑤셔서 견디지 못한다.
그런데 어른이 되어가면서 호흡이 달라진다.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숨이 얕아지고 거칠어지며 약해진다.
대부분의 어른들은 가슴으로 호흡한다.
숨이 단전까지 못내려온다.
당연히 숨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천기도 아주 적어진다.
어른들 중에도 어린이들처럼 호흡하는 이들이
더러 있으나 극히 드물다.
그들은 매우 건강하고 마음도 평안하다.
숨이 가슴으로 올라오는 것은 스트레스 때문이다.
온갖 마음의 상처가 단전까지 시원하게 뚫려 있는
숨길을 막는 것이다.
자라면서 겪은 걱정, 근심, 불안, 두려움, 긴장, 슬픔 등
갖가지 부정적인 경험 때문에 숨을 제대로 못쉬게 된다.
생활단전을 통해 막혀 있는 숨길을 뚫어주고
어린시절의 호흡을 되찾으면 잃었던 심신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
(3) 숨고르기
단전호흡이 심신의 건강에 좋기는 하지만,
가슴으로 숨을 쉬던 사람이 곧바로 단전호흡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어떤 수련단체들은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당장 아랫배로 숨을 쉬라고 가르치는데 그로인한 부작용이 많다.
단전호흡은 자연스럽게 저절로 이뤄져야 한다.
안 내려오는 숨을 억지로 단전까지 끌어내리려면
아랫배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된다.
그 때 윗배 명치 부위와 그 안쪽에 자리잡은
비장과 위장이 잔뜩 긴장한다.
이 때문에 비위가 상하기 쉽다.
또 폐의 자율신경까지 경직되는 부작용을 초래한다.
숨이 자연스럽게 하복부로 안 내려오는 사람들은
먼저 배꼽을 중심으로 편안히 숨을 쉬는 게 좋다.
배꼽으로 숨이 들어오고 나간다 생각하면서
고요히 호흡하면 가슴과 아랫배가 동시에 숨을 쉬게 된다.
긴장을 풀고 편안한 마음으로 숨을 들이쉬고 서서히 내쉰다.
편안히 내쉬고 나면 저절로 잠시 멈춰진다.
억지로 멈추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그렇게 된다.
기력이 아주 좋은 사람은 다 내쉰 다음
바로 들숨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날숨 뒤에 숨이 멈춰지는 시간은 사람에 따라,
몸 상황태에 따라 다르다.
어떤 사람은 잠깐 멈춰지고,
어떤 사람은 몇초간 멈춰진다.
많이 멈춘다고 좋은 게 아니고,
그저 몸이 요구하는 대로 멈춘 다음 다시 숨을 들이쉰다.
저절로 멈춰지는 동안엔 몸속의 탁한 기운이
피부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그래서 다음에 들이쉬는 숨은 좀더 편안하고 풍부해진다.
들이쉬는 숨은 저절로 들어오는 만큼만 들이쉰다.
억지로 많이 들이쉬면 부작용이 따른다.
(4) 숨을 죽이지 마라
숨을 아기의 숨(단전호흡)으로 되돌리기 위해
먼저 배꼽을 중심으로 호흡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가슴으로 숨을 쉬는 사람은 곧바로 단전호흡을 할 수가 없다.
단전호흡은 자연스럽게 저절로 이뤄지는 것이다.
무리하게 억지로 아랫배까지 숨을 끌어내리면 오장육부가 크게 상한다.
가슴으로 숨을 쉬던 사람도 눈을 감고 평안한 마음으로
배꼽을 생각하며 숨을 쉬다 보면, 곧 숨이 조금씩 아랫배로 내려온다.
저절로 그렇게 된다. 또, 그만큼 天氣(천기)를 더 많이 받는다.
어떤 사람들은 특별히 정해놓은 수련시간에만
좋은 호흡을 하려고 노력한다.
그밖의 시간에는 아무렇게나 숨을 쉰다.
그러면 수련의 효과를 빨리 보기가 어렵다.
언제나 숨을 잘 쉬려고 애써야 한다.
자꾸 노력하면 일할 때나 이야기를 나눌 때나
늘 깊은 숨을 쉬게 된다.
보통사람들은 숨이 자꾸 끊긴다.
마음이 급하거나 긴장하거나 걱정거리가 있거나
화가 날때는 숨을 제대로 못쉰다.
그 때마다 몸이 상한다.
어떤 어려운 일이 있어도
숨만큼은 시원하게 쉬어야 건강을 유지한다.
또 숨을 죽이지 않고 잘 쉬면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도 생긴다.
그리고 기력이 약한 사람들은
처음엔 편하게 누워서 수련하는 게 좋다.
두손을 배꼽 주변에 가지런히 올려놓고
두 다리를 어깨넓이로 벌린다.
눈을 감은 채 고요히 배꼽을 생각하며 숨을 쉰다.
긴장을 완전히 풀고서 배꼽만을 생각하면
숨이 아랫배로 들어온다.
그러다 잠이 들어도 괜찮다.
긴장이 풀려 있기 때문에
잠든 상태에서도 호흡이 잘된다.
(5) 의식을 아랫배에 둬라
누워서 수련해도 기력이 너무 약한 사람들은
배로 숨 쉬기가 답답할 때가 있다.
그런 이들은 무릎을 세우고 호흡하면 숨이 편해진다.
또 비장과 위장이 특별히 나쁜 사람들도
숨을 아랫배로 내리기 어렵다.
배꼽을 중심으로 숨을 쉬다 보면
가슴이 묵직하고 답답해진다.
그런 사람들은 하루 이틀쯤 숨을 내쉴때
입으로 내쉬는 게 좋다.
숨은 코로 쉬어야 하지만, 비위가 너무 나쁘면
폐에 탁기가 많이 쌓이므로 입으로 내쉬어
탁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며칠 동안 계속 배꼽을 중심으로 호흡하면
숨이 자연스럽게 아랫배까지 내려간다.
그 다음에는 의식을 배꼽에 두지 않고
아랫배 깊숙한 곳으로 향하게 한다.
평안한 마음으로 하복부 중심 깊숙한 곳을 생각하며
호흡하면 숨이 좀더 풍부하게 내려온다.
아랫배에 기운이 차는 것을 느끼기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숨을 들이쉴때 아랫배가 저절로
불룩불룩 나온다.
이때, 배를 더 많이 내밀려고 해서는 안된다.
저절로 되어지는 대로 내버려 둬야 한다.
수련단체들 중에는 숨쉴때 아랫배가 잘 나오는게
단전호흡이라고 가르치는 곳들이 있다.
아랫배가 많이 나오면 기운이 그만큼 충만해진다며,
힘을 주어 배를 한껏 내밀라고 가르친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안된다.
오장육부가 상한다.
다시 한번 강조하거니와 단전행공, 선도수련은
저절로 되어지게 하는 것이다.
무리하면, 부작용이 따른다.
그저 평화로운 마음으로 고요히
아랫배 깊은 곳을 생각하면 그리로 숨이 들어온다.
마음이 평온해지며 숨도 더욱 풍부해진다.
(6) 횡경막과 폐활량
앞에서도 말했듯이, 아랫배 중심 깊은곳을 생각하며
숨을 쉴 때도 배꼽을 중심으로 호흡할 때처럼
자연스럽게 들이쉬고 내쉰다.
그저 평안한 마음으로 숨이 저절로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보기만 한다.
저절로 들어올 때 들이쉬고,
저절로 멈춰지면 멈춘다.
또 저절로 나갈 때 내보내고, 다시 멈춰지면 멈춘다.
억지로 많이 들이쉬거나 억지로 길게 내쉬거나,
억지로 멈추면 횡경막이 굳고 오장육부가 다친다,
잘못된 호흡법으로 수련하다 몸을 상한 사람이 많다.
호흡의 부작용으로 상한 몸은 약으로 치유하기 어렵다.
호흡으로 고쳐야 한다.
호흡의 부작용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앞에서
언급한 자연스런 호흡을 계속하면 된다.
약을 안써도 자연히 낫게 된다.
잘못된 호흡으로 수련한 사람들은
거의 다 횡경막이 경직돼 있다.
횡경막은 폐활량과 관계가 깊다.
횡경막의 근육이 부드러워 아래 위로 잘 움직이면
폐활량이 풍부하고, 그 반대면 폐활량이 빈약해진다.
어린이들의 횡경막은 부드럽다.
그래서 숨을 시원하게 잘 쉰다.
보통 성인들의 경우는 호흡할 때 횡경막이 상하로 2㎝정도 움직인다.
단전수련을 제대로 하면 6∼8㎝까지 오르내린다.
횡경막 1㎝ 움직이는 데 약 2백50㏄정도의 공기가 들어온다고 한다.
단전호흡을 잘못하여 횡경막이 굳으면 상하운동폭이 2㎝이하로
떨어지니 그 부작용이 매우 크다.
평안한 마음으로 아랫배 중심을 생각하며
자연스럽게 숨을 쉬다보면 경직됐던 횡경막이 차츰 풀린다.
이에 따라 폐활량도 커지고 단전으로 들어오는 기운도 많아진다.
그러면서 오장육부가 활력을 되찾기 시작한다.
(7) 호전현상
아랫배로 들어오는 숨이 풍부해지고 오장육부가 서서히
활력을 되찾으면, 그에 따른 호전현상이 나타난다.
먼저 몸이 좀 가벼워진다.
마음은 한결 평화로워진다.
머리가 맑아지며 소화·배설작용도 원활해진다.
사람 몸에는 經絡(경락)이란 것이 있다.
경락은 기운이 흐르는 통로다.
이 경락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경락 중에는 오장육부와 직접 연결된 경락들이 많다.
각각의 장부와 연결된 이 경락들은 온몸 곳곳으로 뻗어 있다.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두루 퍼져 있다.
그래서 오장육부가 튼튼해지면 몸 전체가 가벼워지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숨이 잘 들어오면서 아랫배가 고무줄처럼
늘어나며 저절로 풍선같이 부풀어오르는 느낌을 받는다.
그것은 횡격막이 부드러워지고 숨을 통해 우주의 기운이
풍부하게 들어오기 때문에 생겨나는 현상이다.
또 몸 전체가 부푸는 느낌도 받는데, 이는 온몸에 퍼져 있는
미세한 경락들이 뚫리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그리고 오장육부의 기능이 아주 약했던 사람들은
일시적으로 몸이 오히려 나빠지는 것 같은 느낌도 받는다.
담 기능이 약했던 사람들은 한동안 머리가 좀 무겁거나 아프다.
비위가 약했던 사람들은 가슴이 답답하고 무겁다.
장이 약했던 사람들은 어깨가 아프다.
기관지가 나빴던 사람들은 마른기침이 나오기도 한다.
전에 다쳤거나 앓았던 부위가 도지는 것처럼 아픈 경우도 있다.
이런 현상들은 모두 막혔던 경락이 뚫리면서 일어나는 것들이다.
3∼4일, 길어야 1주일 정도 지나면 괜찮아진다.
그러니 안심하고 수련을 계속해도 된다.
호전현상 다음엔 몸이 한결 더 좋아진다.
(8) 생명의 문, 命門
단전수련을 하는 사람들 중에는 하복부만으로 숨을 쉬는 게
단전호흡인 줄 알고 폐와 윗배는 거의 활용하지 않는 이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폐와 윗배의 근육이 경직된다.
하복부 중심에 의식을 둘 때도 배꼽에 의식을 둘 때처럼
폐와 윗배를 자연스럽게 활용해야 한다.
하복부 중심을 생각하면서 편안히 호흡하면
숨이 가슴과 배, 몸통 전체로 들어온다.
차츰 폐활량이 커지며, 복부로 흡입되는 기운도
풍부해진다.
하복부의 기운이 웬만큼 충만해지면,
날숨때 그 기운을 천천히 뒤로 보낸다.
천천히 숨을 내쉬면서 복부의 기운이 척추쪽으로
당겨진다고 생각만 하면 된다.
힘을 써서 기운을 끌어당기려고 애쓰면 부작용이 생긴다.
날숨 때 복부의 기운을 뒤로 보내면 다음 들숨 때는
좀 더 풍부한 기운이 들어온다.
그리고 복부 전체가 저절로 부풀어 오른다.
이 때 많이 들이쉬려고 힘을 주면 안된다.
사람 몸에 명문(命門)이란 것이 있다.
이 명문은 이름 그대로 생명의 문이다.
명문이 활짝 열리면 생명력이 넘치고,
완전히 닫히면 죽는다.
명문의 위치는 배꼽의 반대편이다.
그런데 배꼽처럼 밖에 있지 않고,
등허리 안쪽에 있다.
날숨 때 복부의 기운을 뒤로 보내는 이유중 하나가
명문을 활짝 열기 위한 것이다.
복부의 기운이 뒤로 밀려오면서 명문이 점점 더 열리게 된다.
또, 명문이 열리면서, 등판과 허리 안쪽도 따라서
텅 비워지는 느낌이 온다.
나중에는 몸통 전체가 텅빈 허공으로 변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9) 단전의 중심, 氣穴(기혈)
단전은 크게 氣海(기해)와 氣穴(기혈)로 나뉜다.
기해는 하복부 대부분을 가리키고
기혈은 두 개의 신장 사이에 있으며 단전의 중심이다.
원래 단전은 이 기혈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것을 우리나라 고유의 정통 선도인 국선도에선
'돌단자리'라 부른다.
음식물과 호흡을 통해서 사람 몸으로 들어온 地氣(지기)와
天氣(천기)는 먼저 기해에 모인다.
그런 다음 다시 기혈로 들어가 精(정)으로 화한다.
精(정)은 생명력의 원천이다.
精(정)이 생명에너지로 화한 것이 精力(정력)이다.
이 정력을 元氣(원기)라 부르기도 한다.
또 精(정)은 정액을 만드는 原質(원질)이다.
사람이 태어날 때 맨처음 생겨나는 게 바로 기혈과
기혈 주변의 기관들이라 한다.
그러니까 사람 몸을 나무에 비유하면 뿌리에 해당된다.
뿌리가 튼튼한 나무는 건강하게 잘 자란다.
마찬가지로 기혈에 정이 충만한 사람은 생명력이 넘친다.
정이 고갈되면 노쇠해지게 마련이다.
기해에 모인 기운은 기혈에 들어서 정으로 화해야
비로소 내 것이 된다.
그러지 않으면 엉뚱한 데로 흩어지기 쉽다.
기해의 기운을 기혈로 잘 들어가게 만드는 것이
진짜 단전호흡이다.
단전호흡을 제대로 하려면 먼저 기혈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선도 수련인들 중에는 정확한 기혈자리를 잘못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대부분 배꼽 아래 서너 치쯤 되는, 하복부 중심에서 약간 앞쪽을
기혈자리로 안다. 그래서 자꾸 힘을 주어 배를 앞으로 내밀며
호흡하려고 애쓴다.
기혈은 하복부 중심의 앞이 아니라 약간 뒤쪽에 있다.
(10) 의식을 밑바닥에 둬라
단전호흡이란 숨이 단전의 기혈까지 드나드는 것이다.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숨을 통해 들어온 우주의 기운을
기혈로 모으는 게 단전호흡이다.
지금까지 배운 호흡, 즉 배꼽을 중심으로 숨을 쉬는 것이나
의식을 하복부 중심에 두는 것등은 참된 단전호흡에 이르기
위한 과정들이다.
기혈로 숨을 쉬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우선 기혈의 위치가 애매모호하다.
그래서 기혈자리가 뚜렷이 드러나도록 만들어야 한다.
하복부에 들어온 기운을 날숨 때마다 뒤쪽으로 보내는
호흡을 자꾸 하다 보면 먼저 명문이 활짝 열린다.
또 몸통이 텅 비는 느낌이 들고 숨쉬는 게 아주 시원해진다.
아랫배는 고무줄처럼 늘어나며 저절로 크게 부풀어 오른다.
이렇게 되면 하복부 중심에 두었던 의식을 더 아래로 향하게 한다.
긴장을 완전히 풀고 평안한 마음으로 미려(꼬리뼈), 항문,
회음(항문과 성기 사이)일대를 생각한다.
이때 정신을 집중하려고 애쓰면 안된다.
그러면 오히려 힘만 들고 지친다.
조는 듯 깨어 있는 듯, 눈을 감고 마음으로
은은히 밑바닥을 바라보며 깊은 휴식을 취한다.
우리의 의식이 상체 밑바닥을 향하고
깊은 평화를 누릴 때, 온갖 번뇌와 고통으로 거칠어진
마음의 파장도 고요히 가라앉는다.
고요해진 心波(심파)는 서서히 생명의 뿌리인 기혈로 돌아간다.
그 심파를 따라서 숨도 점점 더 깊어져 기혈까지 이르게 된다.
마음이 기혈에 머물고 숨이 거기로 드나들면,
우주의 기운이 블랙홀에 빨려들 듯 기혈로 모인다.
이때 기혈자리를 뚜렷하게 느낄수 있다.
(11) 올바른 행공자세
몸의 자세는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잘못된 자세는 골격을 비뚤어지게 만든다.
그로 인해 많은 병이 생겨난다. 올바른 자세는
골격을 바르게 만들고 건강에 도움을 준다.
단전행공도 마찬가지다.
수련할 때 바른 자세로 하지 않으면
수련의 효과를 빨리 보기가 어렵다.
서서 수련할 때는 두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린다.
두 발의 형태는 ‘11자’처럼 일직선이 되게 한다.
두 손은 배꼽 아래 하복부에 가지런히 모은다.
이때 엄지는 엄지끼리, 검지는 검지끼리 마주치게 만든다.
또 턱은 목쪽으로 약간 당겨 머리와 척추가 일직선이 되게 한다.
누워서 수련할 때도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두 손을 하복부에 가지런히 올려놓는다.
의자에 앉아서 수련할 때도 발과 손모양을 똑같이 하며
허리는 반듯하게 세운다.
앉아서 수련할 때는 가부좌 자세가 제일 좋다.
가부좌 자세는 단전의 중심인 氣穴(기혈)로
기운이 가장 잘모이게 만드는 자세다.
가부좌에는 결가부좌와 반가부좌가 있는데,
초심자는 결과부좌를 하기가 어렵다.
초심자에겐 반가부좌가 좋다.
가부좌 자세는 양 다리를 엇갈리게 하고
양 발은 허벅지 위에, 발바닥이 하늘로 향하게
올려 놓는 것이다.
반가부좌 자세는 한 쪽 다리는 밑에 놓고,
그 위에 다른 쪽 다리를 포개 놓는 것이다.
가부좌 때도 허리를 반듯하게 세우고 손은 하복부에 댄다.
(12) 여러가지 변화현상
기혈로 기운이 모여들어 단전호흡이 제대로 될 즈음엔
여러가지 새로운 변화현상을 체험한다. 그 체험은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사람마다 몸 상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들은 진동을 체험한다.
팔, 다리가 떨리거나 머리가 전후좌우로 움직인다.
상체 전체가 그럴때도 있다. 이것은 기운의 흐름이
원활해지면서 막혔던 경락들이 뚫리는 현상이다.
단전부위나 손,발,어깨 등이 뜨거워지는 사람도 있다.
이 역시 기운 유통이 잘되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반대로 차가운 기운이 느껴지기도 하는데, 그것은
심한 寒氣(한기)가 뼈속까지 침범했던 사람들이 체험한다.
좋은 기운이 충만해지면서 그 한기가 뽑혀나가는 것이다.
전에 아팠던 곳들이 또 아프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아직 환부에 잠복해 있던 病根(병근)이 치유되는
根治(근치)현상이다. 이때 느끼는 통증은 병을 앓던 때보다
훨씬 약하다. 근치현상은 1주일 내외로 없어진다.
위에 열거한 예들 말고도 체질에 따라 많은 변화현상이 나타난다.
그런데 수련인들 거의 모두가 체험하는 현상이 있다.
회음(항문과 성기 사이)에서 기운덩이가 위로 밀고 올라오는 현상과
기혈을 중심으로 기운이 소용돌이치며 도는 게 그것이다.
회음에서 올라오는 기운덩이는 기혈에서 나와 온몸으로
퍼졌던 기운이 기혈로 되돌아오는 것이다.
이 기운과 숨을 통해서 들어온 우주의 기운이 맞물려서
기혈로 빨려들어가며 소용돌이가 생긴다.
이 기운의 소용돌이는 마침내 단전호흡이 이뤄지기 시작했다는 징표다.
(23) 상·중·하 삼단전
사람이 음식물을 통해 얻는 穀氣(곡기)와 호흡을 통해 얻는
우주의 天氣(천기)는 먼저 단전에서 精(정))으로 化(화)한다.
정은 생명의 原質(원질)이다.
정이 충만해야 생명력이 왕성해진다.
보통 단전이라 하면 정이 모이고 머무는 하복부를 가리킨다.
이 하복부를 下丹田(하단전)이라고도 한다.
하단전이 정은 다시 기로 화하여 온몸으로 퍼진다.
이 기를 활용하여 몸을 움직이게 하는 것을 두뇌다.
두뇌는 위에 있으므로 上丹田(상단전)이라 불린다.
우리가 어떤일을 할 때 그 일을 하도록 결정하는 것은 마음이다.
이 마음을 움직이는 것을 선도에선 神(신)이라 한다.
신은 가슴에 머무는데 심장에 의지하고 있다.
신이 머무는 가슴은 하단전과 상단전의 중앙에 있으므로
중단전이라고도 한다.
선도법이 다른 종교의 수행법과 다른 점은
몸과 마음과 정신을 함께 닦는 것이다.
정·기·신, 삼단전을 같이 닦는 게 선도 수행법의 핵심이다.
정·기·신은 상호작용을 한다.
정이 충만해지면 기가 왕성해지고,
기가 왕성해지면 신이 밝아진다.
거꾸로 신이 평안하면, 기도 풍부해지고,
정도 충실해진다.
정·기·신을 나무에 비유한다면,
정은 뿌리요, 기는 줄기며, 신은 잎이다.
나무는 잎과 줄기와 뿌리가 고르게 자랄 때
튼튼해진다. 이 중 어느 하나가 부실하면
허약해지기 십상이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정·기·신 삼단전이 조화롭게 정화되어야
심신의 평화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가령 신이 어두워 마음을 바르게 갖지 못하는 사람이
정만 충만해진다면 어찌 될까.
넘치는 정력과 기력을 나쁜 데다 허비하고 만다.
(24) 三丹田 호홉
우리 고유의 선도인 국선도 수련법은
상·중·하 삼단전 수련이다.
호흡법 역시 삼단전 호흡이다.
삼단전 호흡을 통해 상·중·하 삼단전을
고르게 닦는 것이 선도의 秘法(비법)이다.
삼단전 호흡이란 상단전, 중단전, 하단전을
하나로 합일시켜 숨을 쉬는 것이다.
머무는 자리가 다르고 작용하는 바가 다른
삼단전을 어떻게 합일시키는가.
상단전은 사고활동을 한다.
사람의 뇌리에는 온종일 온갖 상념들이 스쳐간다.
이 상념들을 모두 떨치고 정신을 거울처럼 맑게 만들면,
상단전의 어지러운 念波(염파)가 고요히 가라앉아
하단전으로 내려온다.
중단전은 마음자리다.
사람들의 마음은 온갖 감정으로 휘둘린다.
기쁨 슬픔 미움 두려움 분노 등 갖가지 감정이 교차하며
마음을 뒤흔들어 놓는다.
또한 부정적인 감정들 때문에 마음의 문도 많이 닫혀 있다.
시시때때로 변하는 감정들을 훌훌 털어내고
마음의 문을 활짝 열며 평온하게 있으면,
중단전의 어지러운 心波(심파)가 고요히 가라앉아
하단전으로 내려온다.
이렇게 머리를 텅비우고 무심한 상태로
지극한 평화에 잠기는 것이 삼단전의 합일이다.
이 상태에서 텅비워진 의식을 평안히 하단전의 중심인
기혈쪽으로 향하게 하며 호흡하는 것이 삼단전 호흡이다.
의식을 하단전으로 평안히 향하게 만드는 것은
애를 써서 집중하는게 아니다.
그저 편안하고 은은하게 기혈과 가까운 윗몸의
밑바닥(꼬리뼈, 항문, 회음 일대)을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온갖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거울처럼 만들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마음을 활짝 열고 텅비우는 일도 참 어렵다.
상념이 떠오르고 감정이 일면, 그 상념과 감정을 모두 쓸어모아
자꾸 밑바닥으로 보내야 한다.
그리하다 보면 차차 저절로 번뇌망상에서 벗어나게 된다.
(25) 백회(白會)를 열어라
사람 몸에 백회라는 穴(혈)이 있다.
백회혈의 위치는 머리 꼭대기(정수리)다.
이 백회혈은 우주의 기운이 몸으로 들어오는 관문이다.
어머니의 자궁 속에 있는 태아들의 백회는
숨을 쉴 때마다 불룩불룩 움직인다.
우주의 기운이 풍부하게 쏟아져 들어오기 때문이다.
태아들은 이 풍부한 기운을 받아 하루가 다르게 무럭무럭 자란다.
갓태어난 아기들은 정수리(백회)가 말랑말랑하다.
태어난 지 몇 달이 지나면 딱딱하게 굳는다.
어린 아기들도 백회를 통해 우주의 기운을 풍부하게 받는다.
그 힘으로 쑥쑥 큰다. 또, 숨을 들이쉴 때마다 아기들의 배가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도 쏟아져 들어오는 우주의 기운 때문이다.
이 기운이 하단전에 가득 차면서 배가 저절로 부풀어 오르는 것이다.
아이들은 생각이 단순하다. 잡념에 빠지지 않는다.
무엇을 골똘히 생각하지도 않는다.
이처럼 상단전(머리)이 텅 비워져 있기 때문에
백회가 활짝 열려 우주의 기운이 쏟아져 들어오는 것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생각이 복잡해진다.
온갖 상념이 뇌리를 떠나지 않는다.
머리가 갖가지 번거로운 생각들로 꽉 차있다.
아기들처럼 생각을 비우고 지내는 시간이 거의 없다.
머리가 잡다한 생각들로 채워지면서
우주의 기운이 들어오는 백회가 조금씩 닫히게 된다.
우주의 기운도 점점 적게 들어온다.
그에 따라 숨도 얕아지게 마련이다.
또 몸도 허약해진다.
우주의 기운을 풍부하게 받으려면 먼저
백회가 활짝 열려야 한다.
백회를 열려면 번잡한 생각을 떨쳐야 한다.
아기들처럼 상단전을 텅비우고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면
백회가 저절로 활짝 열린다.
한데 사람이 생각을 전혀 안하고 살 수는 없다.
생각할 게 있으면 너무 힘들여 하지 말고,
평안한 마음으로 하면 한결 좋다.
(26) 中丹田을 열어라
우리가 머리를 맑게 비우고 수련을 하면 백회가 열리면서
우주의 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한다.
백회가 자리한 정수리가 부푸는 것 같거나,
묵직한 모자를 쓴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또 정수리에 기운의 소용돌이가 생긴다.
이 소용돌이가 하단전에도 생겨
둘이서 똑같이 움직이기도 한다.
백회로 들어온 우주의 기운은 척추를 따라 등,
허리를 지나서 命門(명문)을 통해 하단전에까지 이른다.
하단전으로 내려와야 비로소 나의 기운으로 化(화)한다.
백회가 있는 상단전(머리)과 하단전(하복부)사이엔
중단전(가슴)이 있다.
우주의 기운은 백회로 들어와 중단전의 뒤쪽을 거쳐
하단전으로 내려온다.
그래서 중단전도 활짝 열려야 우주의 기운을 듬뿍 받게 된다.
중단전이 막혀 있으면, 백회로 우주의 기운이 아무리 풍부하게
들어와도 그것이 모두 하단전까지 내려올 수가 없다.
중단전이 열린 만큼만 내려오게 마련이다.
나머지 기운은 중도에서 흩어지고 만다.
중단전은 마음이 자리한 곳이며,
마음에 따라 열리고 닫힌다.
마음이 한없이 밝고 평화로울 땐 활짝 열린다.
어둡고 불편하면 도로 닫힌다.
미움,분노,슬픔, 두려움, 불안, 근심, 질투등
부정적인 감정들이 가슴에 가득 쌓여 있으면
우주의 기운이 드나드는 통로가 꽉 막혀 버린다.
아기들은 어른들에 비해 마음이 무척 평화롭다.
태평하고 천진스럽기 그지 없다.
흉악한 사람을 보고도 긴장하지 않고 방실방실 웃는다.
누굴 미워하거나 싫어하지도 않는다.
무엇에 집착하여 애를 태우는 일도 없다.
배가 부르고, 아프지만 않으면 편안히 잘 논다.
그래서 상단전과 함께 중단전이 활짝 열려 우주의 기운을 풍부하게 받는다.
어른들도 아기의 마음을 배워 평화를 누리면 막혔던 중단전이 다시 열린다.
(27) 고요한 숨
잡념을 떨쳐 상단전(머리)을 비우고 갖가지 감정을 씻어내
중단전(가슴)을 활짝 열면 우주의 기운이 몸으로 쏟아져 들어온다.
호흡이 마음과 정신을 닦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선도 용어 중에 調心(조심), 調息(조식), 調身(조신)이란 말이 있다.
마음과 숨과 몸을 가다듬는다는 뜻이다.
조식(숨을 고름)과 조신(몸을 고름)은 결국
조심(마음을 고름)을 위한 것이다.
조심이 제대로 이뤄지면 조식 조신은 저절로 된다.
좋은 호흡은 고요히 편안하고 부드럽게 쉬는 숨이다.
또 가지런히 깊게 쉬는 숨이 좋은 호흡이다.
선도에서는 숨을 쉴 때 細細呼出(세세호출)을 강조한다.
아주 가늘고 그윽하게 들이쉬며 내쉬라는 것이다.
새의 깃털을 코끝에 대어도 잔털 하나 흔들리지 않도록
고요히 쉬라고 이른다.
이렇게 고요한 숨을 쉬면, 마음과 정신이 지극히 평온해진다.
우주의 기운도 그만큼 풍부하게 들어온다.
세세호출이라고해서 억지로 가슴을 조이고 폐활량을 최대한 줄여서,
숨을 가늘게 쉬려고 애쓰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호흡은 폐의 기능만
약하게 하기 쉽다.
참된 세세호출은 가슴을 열고 자연스럽게 고요히 쉬는 숨이다.
가늘다기보다 아주 부드럽게 들이쉬고 내쉬는 호흡이다.
물론 마음이 평화로우면 저절로 이런 숨이 쉬어지는 것이지만
의식적으로 숨을 이렇게 쉬다보면 마음도 따라서 평안해진다.
걱정거리가 떠나지 않아 마음이 괴로우면
가슴을 열고 자꾸 숨을 고요히 쉬도록 해보자.
그러면 가슴에 가득 쌓였던 걱정 근심도 차차 녹아 없어지게 된다.
마음이 평온해지며 숨도 더욱 고요해진다.
(28) 二段呼吸
선도수련에는 행공(몸 고르기), 호흡수련(숨 고르기),
의념수련(마음·정신 고르기)이 있다.
이 세가지 수련을 함께 하는 것인데, 행공보다 호흡이 중요하고,
호흡보다 의념이 더 중요하다.
행공의 목적은 몸을 잘 풀어주어 좋은 숨을 쉬는데 도움을 주자는 것이다.
또 좋은 숨을 쉬는 것은 마음과 정신을 환히 밝히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물론 행공을 잘 하거나, 숨을 잘 쉬면 몸의 건강은 저절로 얻어지게 마련이다.
좋은 숨이란 편안히 고요하고 부드럽게 쉬는 숨이다.
가슴을 열고 편안히 숨을 쉬다보면, 들이쉬고 내쉬는 중간에
코로 쉬는 숨이 저절로 멈춰지게 된다.
숨이 코로 들어온 다음 저절로 멈춰졌다 내쉬어지고,
내쉰 다음 다시 저절로 멈춰졌다 들이쉬어 진다.
이렇게 저절로 멈춰지는 것을 中止(중지)라 한다.
호흡에서 중지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절로 멈춰지는 중지때 우주의 기운이 풍부하게 들어오고,
몸 속의 탁한 기운은 밖으로 많이 배출된다.
이를 內呼吸(내호흡)이라 한다.
이 내호흡이 자연스럽게 제대로 이뤄지면
병약했던 사람도 빨리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
우리 고유의 선도인 국선도 호흡법은
중지를 바르게 하는 이단호흡법이다.
들이쉬고 내쉬는 중간에 잠시 멈춰주기 때문에
이단호흡이라 일컫는 것이다.
올바른 중지, 내호흡은 저절로 멈춰지는 것이다.
반드시 자연스럽게 이뤄져야 한다.
억지로 코를 막고, 폐를 경직시켜 숨을 멈추는게 아니다.
억지로 멈추는 숨은 부작용만 불러올 따름이다.
긴장을 풀고 그저 편안히 숨을 쉬다보면 코로 들이쉬고
내쉬는 중간에 저절로 멈춰지게 마련이다.
(29) 마음을 숨에 맡겨라
들숨과 날숨의 중간에 저절로 멈춰지는 二段呼吸(이단호흡)이
세간에는 止息(지식)호흡이란 이름으로 알려졌다.
지식이란 이름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숨을 많이 멈추면
우주의 기운을 풍부하게 받는 줄 오해했다.
숨을 억지로 멈추는 것은 自燃之道(자연지도)인 선도의 원리에 어긋난다.
많은 부작용만 따를 뿐인데, 무엇보다 먼저 산소공급이 잘 안된다.
산소가 부족해지니 기혈순환에도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머리가 아프고 온몸이 무거워진다.
참된 이단호흡은 마음을 편안히 숨에 맡길 때 이뤄진다.
숨을 의도적으로 어떻게 쉬려고 애쓸게 아니라, 그저 무심하게
숨이 드나드는 걸 마음으로 바라보면 된다.
그 때 숨은 몸에 맞게 저절로 들어오고 멈춰진다.
또 저절로 내쉬어지고 다시 멈춰졌다 들어오곤 한다.
마음을 모아 고요히 숨을 생각하면 된다.
숨의 길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진다.
멈춰지는 시간도 그렇다.
건강하고 평화로운 사람은 들숨이 길다.
들이쉰 다음 저절로 멈춰지는 시간도 길다.
몸이 약한 사람은 들이쉬는 숨과 들이쉰 다음
멈춰지는 시간이 짧다.
대신 내쉬는 숨과 내쉰 다음 멈춰지는 시간이 더 길다.
몸이 차츰 좋아지면서 나중엔 반대로 된다.
어떤 사람들은 숨이 길어야 좋다며 들숨과 날숨을
억지로 길게 쉬려고 애쓴다. 그러기 위해 숨을 인위적으로
너무 가늘게(약하게)쉬거나, 가슴이 답답할 때까지
최대한 들이쉬고 내쉰다.
이렇게 쉬면 저절로 멈춰지는 내호흡이 안된다.
또 어떤 사람들은 잘못된 지식호흡으로 몸을 망친 사람들을 보고
이단호흡 자체가 나쁜줄 오해한다. 그들은 저절로 멈춰지는 것도
금기시한다. 내호흡의 비밀을 모르기 때문이다.
(30) 내호흡과 胎息(태식)
세상에서 마음이 가장 태평한 사람은 엄마 뱃속에서 자라는 태아다.
태아는 마음이 태평하기 때문에 숨을 한없이 고요하고 깊게 쉰다.
그렇게 쉬려고 애써서가 아니라 저절로 그리 된다.
태아는 온몸으로 숨을 쉰다.
온몸의 氣孔(기공)이 활짝 열려 있어 거기로 숨이 드나든다.
이렇게 쉬는 숨을 胎息(태식)이라 한다.
어른들의 피부도 숨을 쉰다. 몸에 필요한 공기중
30%정도를 피부호흡을 통해 얻는다.
나머지는 코를 통해 얻는다.
태아는 온몸으로 숨을 쉬기 때문에
우주의 기운을 아주 풍부하게 받는다.
어른들도 태아처럼 피부호흡을 하면
엄청난 우주의 기운을 받게 된다.
우리의 의념이 상체의 밑바닥에 편안히 머물면
마음이 한없이 고요해진다.
걱정 근심이 모두 사라지고 지극히 평화로워진다.
태아의 마음과 비슷해지는 것이다.
이때 숨도 한없이 깊고 그윽해진다.
너무 고요해서 코로는 공기가 드나들지 않는 것처럼 느껴진다.
실제로는 공기가 드나들지만 너무 부드럽고 그윽하여 감지하기 어렵다.
이런 상태에서 들숨 날숨과 中止(중지)의 경계가 없어진다.
들숨도 날숨도 중지와 거의 같아진다.
코로 드나드는 외호흡과 저절로 멈춰지는 내호흡이
함께 이뤄지는 이단호흡에서 더 나아가 내호흡만
이뤄지게 되는 것이다.
내호흡은 보통 호흡에서 태식에 이르는 중간단계의 호흡이다.
내호흡이 제대로 되면 피부의 기공이 활짝 열리기 시작한다.
숨을 들이쉴 때는 우주의 기운 공기와 함께 쏟아져 들어오고,
내쉴 땐 몸속의 탁기가 아주 잘 배출된다.
(31) 내호흡과 외호흡
아직 선도의 호흡 비법인 이단호흡과 내호흡에 관해
잘못 이해하는 독자들이 많은 것 같아 이에 대해 한번 더
설명하고자 한다.
선도에서는 코로 공기가 드나드는 것을 외호흡이라 한다.
또 코로 드나드는 숨은 거의 멈춘 듯한데 공기와 함께
우주의 기운이 드나드는 것을 내호흡이라 한다.
병약한 사람들은 몸에 탁기가 많이 쌓여 있다.
이 탁기 때문에 우주의 기운이 풍부하게 들어오기 어렵다.
그래서 들숨 다음에 저절로 멈춰지는 中止(중지)가 극히 짧다.
대신 탁기를 많이 배출하기 때문에 날숨 뒤의 중지는 길다.
건강하다 해도 마음이 평화롭지 않은 사람 역시 중지가 짧다.
숨이 거칠기 때문이다.
아주 건강하면서 마음도 평화로운 사람은
들숨 다음의 중지가 날숨 뒤의 중지보다 훨씬 길다.
몸에 탁기가 적기 때문에 탁기를 배출하는 날숨 뒤의 중지가 짧다.
대신 들숨뒤의 중지가 길어 우주의 기운이 풍부하게 들어온다.
마음이 극도로 평화로워지면 중지가 아주 길어진다.
여기에 더하여 들숨과 날숨도 중지때와 똑같이 코로는
거의 드나들지 않는 것처럼 느껴진다. 코로 드나드는 숨이
끊긴 듯하다.
너무도 고요하여 중지 때 기운이 드나드는 상태처럼 된다.
이런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몸이 무한한 우주 기운과
합류하게 된다.
이때는 들숨 날숨과 중지의 구분이 사라진다.
외호흡에서 완전히 내호흡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이것이 기공호흡(피부호흡)의 시작이다. 처음에 중지가
짧다고 해서 길게 만들려고 무리해선 안된다.
숨은 저절로 쉬어지는 대로 내버려두고
평안히 있으면 차츰 길어지게 마련이다.
(32) 숨을 잊어라
선도수련의 핵심이 호흡수련이라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여러 수련단체에서 그렇게 가르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선도수련인들이 호흡수련에 매달린다.
단전행공, 선도수행의 중심은 意念(의념)수련이다.
마음과 생각을 생명의 본래자리(하단전의 기혈)로
되돌리는 것이 단전행공의 핵심이다.
호흡을 잘 가다듬는 것은 가슴과 머리에 있는 의념을
호흡에 실어 하단전으로 내려보내기 위해서다.
굳이 호흡에 의지하지 않아도 의념을 하단전 밑바닥에
고요히 머물게 할 수 있는 사람은 호흡을 잊는 게 좋다.
또 깊은 호흡에 의지하여 의념을 하단전에
내려보낸 다음에도 호흡을 잊어야 한다.
호흡을 자꾸 의식하는 것도 번뇌기 때문에
상·중·하 삼단전의 통일에 방해가 된다.
호흡은 저절로 되게 내버려 두고 의념을 평안히 하단전에 두면,
가장 좋은 상태의 호흡이 자연스럽게 이뤄진다.
마음이 평화로우니 호흡도 지극히 고요해져 내호흡 상태로 들어간다.
이 때, 三丹田(삼단전)의 精(정), 氣(기), 神(신)이 통일되며
우주의 기운과 합류한다.
삼단전이 통일되고 내호흡이 제대로 이뤄지면
하단전에 精氣(정기)가 빨리 차오른다.
하단전에 기운덩이가 생겨 움직이는 게 느껴진다.
이 기운덩이는 처음엔 엷게 퍼져 있다가
차츰 단단히 응축되며 작아진다.
하단전에 정기가 차오르면서 신체 중약했던 부위로
강한 기운이 흘러간다. 오장육부 중 어느 한 곳이 병든 사람은
병든 장부와 함께 그장부에 연결된 경락으로 강한 기운이
뻗친다. 약했던 부위가 다 좋아진 다음에는 남는 기운이 몸에 축적된다.
이를 蓄氣(축기)라 부른다.
축기는 발에서부터 시작되니 먼저 발걸음부터 나는 듯 가벼워진다.
(33) 기운의 순행
하단전에 기운덩이가 생기고 蓄氣(축기)가 되면서,
경락을 따라 흐르는 기운의 運行(운행)이 아주 활발해진다.
전기가 통하듯 찌릿찌릿한 느낌이 들거나
뭉클뭉클한 기운이 이리저리 움직인다.
또 여기저기가 후끈후끈해지기도 한다.
기운의 흐름에는 순서가 있다.
하단전의 기운이 발로 내려갈 때는 다리의 바깥쪽을 따라 흐른다.
발에서 다시 단전으로 돌아올 때는 안쪽으로 올라온다. (12경유통)
척추를 따라 위로 올라갈 때는 뒷목 아래 대추혈에서 양팔로 갈라진다.
팔의 안쪽을 따라 손끝까지 흐른 다음에 다시 대추혈까지 되돌아온다.
그리고 또 머리로 올라갔다가 가슴으로 내려와 하단전에 이른다.
이것이 자연스런 기운의 운행이다.
축기가 잘 되었을 때 기운이 발로 내려가면 발이 부풀어 오르는 것 같다.
후끈 달아오르기도 한다. 발에서 위로 올라올 때는 용천(발바닥 움푹 들어간 곳)으로
빨려드는 느낌이 든다. 무릎을 지날 때 무릎이 떨리는 경우도 있다.
양 다리로 내려가는 기운은 회음(항문과 성기 사이)을 통해서
가는데 올라올 때도 마찬가지다.
회음을 지나갈때 회음에서 뭉툭한 기운덩이가 느껴지기도 한다.
척추를 따라 등으로 올라갈 때도 종종 그런 기운덩이가 느껴진다.
윗몸으로 오르내리는 기운은 뒤로(등으로)올라갔다가
며리에서 앞으로(가슴으로)내려오는게 정상이다.
또, 뒤로 올라갈 때는 뜨거운 기운이 느껴지며,
앞으로 내려올 때는 시원한 기운이 느껴진다.
하단전으로 돌아오면 도로 뜨거워진다.
마음이 평화로우면 이렇게 순리대로 순행하게 마련이다.
기운이 순행하면 병약했던 사람도 빨리 건강을 되찾는다.
기운이 순행하려면 무엇보다 마음이 평안해야 한다.
마음이 태평할 때는 누구나 기운의 흐름이 바르게 되어 몸이 활력을 얻는다.
(34) 기운의 逆行
윗몸으로 흐르는 기운은 등을 타고 머리로 올라갔다가
얼굴 가슴을 지나 하단전으로 내려와야 한다.
그래야 이 부위에 뻗어 있는 오장육부의 경락이 활력을 얻는다.
그러나 마음이 평화롭지 않을 땐 기운이 하단전에서 가슴으로 역행한다.
가슴을 지나 머리끝까지 치솟기도 한다. 이렇게 기운이 거꾸로 올라가면
몸이 상한다.
기운이 역행하는 것은 온갖 감정 때문이다.
감정이 격해지면 등 뒤로 올라가야 할 기운이
마음자리인 가슴으로 올라간다.
슬픔, 미움, 걱정, 분노 등과 같은 좋지않은 감정들 뿐만아니라
기쁨과 즐거움같은 좋은 감정들도 격해지면 기운을 거꾸로 흐르게 만든다.
우리말에 가슴이 탄다는 말이 있다.
걱정과 근심으로 너무 마음을 쓰면 뜨거운 기운이
가슴을 치받기 때문에 이런 말이 나온 것이다.
애를 태우면 뜨거운 火氣(화기)가 위로 올라가
입이 바짝 마르기도 한다. 또 울화가 치민다,
화가 머리 끝까지 치밀어 오른다는 등의 말도 많이 쓴다.
분노로 인해 뜨거운 기운이 역행하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
심하게 화가 나면 얼굴이 화끈화끈해지기도 한다.
좋은 감정이든 나쁜 감정이든 감정이 복받치면
강한 기운이 가슴을 친다.
그래서 먼저 가슴에 뻗어 있는 경락을 상하게 만든다.
경락은 가슴 한복판에 상하로 걸쳐 있는 임맥,
비장과 연결된 비경, 위와 연결된 위경, 담에 연결된 담경,
그리고 신장에 연결된 신경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우선 소화기능이 약해진다.
기운이 역행하여 위경과 비경이 상하기 때문이다.
항상 마음이 고요하고 태평한 사람은
기운이 언제나 순행한다.
그래서 대범한 사람들이 건강하다.
(35)천기·지기의 조합
선도 수련인 중에는 하늘의 기운이 머리의 백회로 들어오고,
땅의 기운은 발바닥의 용천으로 들어온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다.
天氣(천기)는 백회로 들어온다.
그런데 용천으로 들어오는 기운은 사실 원래 있던 내몸의 기운이다.
내몸의 기운이 단전에서 발로 내려가 용천을 통해 단전으로 되돌아오는 것이다.
우리의 마음과 의식이 하단전 밑바닥에 평화로이 머물면
우주의 기운이 저절로 풍부하게 들어온다.
그리고 하단전에 정기가 충만해진다.
충만한 기운은 또 경락을 따라 힘차게 온몸을 돈다.
기운의 흐름이 활발해지면서 다리의 경락들을 통해
발로 내려가는 기운이 용천으로 되돌아오는 게 뚜렷이 느껴진다.
발이 부푸는 느낌도 들고 용천에서 기운의 응어리 같은 것이
뭉클뭉클 움직이기도 한다. 후끈후끈한 열기를 느끼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기운들이 용천 안으로 빨려들 듯 들어오는 것을 가지고
地氣(지기)를 받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용천을 통해 되돌아오는 기운은 회음(항문과 성기 사이)에서 만나
한덩이가 되어 다시 하단전 중심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백회를 통해 들어오는 우주의 기운과 합류한다.
우주의 기운과 내몸의 기운이 합류하며 소용돌이가 생긴다.
아래와 위에서 들어오는 두 기운이 맞물려 돌아가며 기운덩이가
소라모양으로 움직인다. 어떤 사람은 의식적으로 이 기운덩이를
돌리려고 애쓴다.
그러나 그저 마음을 평안하게 가라앉히고
하단전 밑바닥을 고요히 생각하고 있으면
저절로 그렇게 된다.
소라모양의 소용돌이가 뚜렷해질 무렵,
백회로부터 우주의 기운이 들어오는 것도
더욱 분명하게 느껴진다.
백회에서 명문까지 등허리가 활짝 열리는 것 같다.
그곳이 풍선처럼 부풀기도 한다.
(36) 기운의 응축
하단전에서 우주의 기운과 내 몸의 기운이 합류하며
생긴 기운의 소용돌이가 뚜렷해지면 몸이 흔들린다.
몸의 중심자리에서 강한 기운의 응어리가
움직이기 때문에 몸 전체가 흔들린다.
이 진동은 체질과 마음 상태에 따라 강도가 다르다.
심신이 약한 사람에게는 격렬한 진동이 올 수 있다.
심신이 아주 강건한 사람은 미미하게 온다.
상체가 약간 휘청이는 느낌만 받는 사람도 있다.
또 하단전의 정기가 충만해지면 병약했던 몸의 여러
부위로 강한 기운이 뻗쳐간다.
병약했던 부위를 치유하기 위해서 그러는데 이 때도
그 부위에 강한 진동이 올 수 있다. 목 어깨 팔 허리 다리
무릎 등이 저절로 떨린다.
병약해서 막혔던 곳이 뚫리는 현상이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여러 곳이 안좋았던 사람들은 동시에 그 부위들이 격렬하게
떨리기도 한다.
팔 목 다리 허리 등 몸의 각 부위가 제 맘대로 움직이기도 한다.
어떤 이들은 뭔가 잘못된 게 아닌가하고 깜짝 놀란다.
그러나 그것은 부작용이 아니고, 자연스런 호전현상이다.
진동이 오는 대신 병약한 부위에서 후끈한 열기가 느껴지기도 한다.
이 열기 또한 막혔던 경락을 뚫어주고 病氣(병기) 濁氣(탁기)를 제거한다.
위와같은 여러 현상들이 일어나도 거기에 마음을 뺏기면 안된다.
그런가보다 하고 무심히 넘기고 항상 意念(의념)을
하단전 밑바닥에 둬야 한다.
그래야 하단전의 정기가 더욱 충실해질 수 있다.
기운의 소용돌이가 뚜렷해진 뒤
계속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의식을
하단전 밑바닥에 향한 채 평화로이 쉬노라면,
소용돌이 중심에서 하단전의 정기가
아주 단단하게 응축된다.
주먹만한 응어리가 생기는데, 흡사 속껍질만 있는 계란과 흡사하다.
하단전의 정기는 이렇게 응축돼야 쉽게 흩어지지 않는다.
to be continued...
'Ascension > Ascension Healing Resour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단전: 숨과 생명에너지 (3/3) (0) | 2014.01.22 |
---|---|
생활단전: 숨과 생명에너지 (2/3) (0) | 2014.01.20 |
People who are religious or spiritual have 'thicker' brains... (0) | 2014.01.14 |
Bashar: Illnesses, Dying and Just relax (0) | 2013.12.31 |
Abraham: "Any limitation to the body's ability to heal?" (0) | 201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