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교육 칼럼]
ADHD에 관한 불편한 진실 上
김경림 <ADHA는 없다> 저자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약물치료, 과연 최선일까? 혹시 학교를 위한 최선은 아닐까? 부모의 불안심리를 이용한
불안 마케팅과 맞물려 ADHD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다. 어쩌면 ADHD는 애초부터 실체가 없는, 불안이 만들어 낸 상상 속
괴물인지도 모른다. 개인의 주의력 결핍과 과잉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인간에 대한 이해 결핍, 과잉 불안이
빚어낸 문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심리학자 호노스 웹에 의하면 ADHD로 진단 받는 아이의 대부분은 창의성, 직관력, 민감한 감수성, 높은 에너지 수준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런 성향을 지닌 아이들일수록 지금의 학교 시스템에 맞지 않아 오해와 고통을 받고 있다. 부모들은 아이가
학교에서 뒤처지고 사회에서 낙오자가 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약물치료를 받는다.
'스스로 서서 서로 살리는 교육을 여는' 격월간 <민들레>는 올 한 해 이처럼 왜곡과 편견으로 얼룩진 ADHD 문제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 첫 발걸음으로 책 <ADHD는 없다>를 펴낸다. <ADHD는 없다>의 저자 김경림 씨는 아이가 ADHD 진단을 받은 일을
계기로 삶의 방향과 태도를 바꿨다. 현재 그는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과 그 부모들을 위한 블로그 'ADHD로부터
아이 구하기'와 혼자 아이를 키우며 살아가는 싱글맘을 위한 블로그 '마리네 삼층집'을 운영하고 있다.<편집자 주>
아마도 아이를 키우는 사람들 중 ADHD라는 용어를 처음 들어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아이가 산만하다 싶으면
'얘, 혹시 ADHD 아냐?'라고 한마디씩 하는 식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다들 한 번씩은 들어봤고 용어에
익숙하기 때문에 마치 ADHD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기가 쉽다. 그래서 부모도 비교적 쉽게 '혹시 ADHD 아닐까'
생각하고, 교사도 대수롭지 않게 "혹시 모르니까 병원 가서 ADHD 검사 한번 받아보시죠" 한다. 콧물 나고 기침에 시달리다가
병원에 가면 으레 감기약을 처방받게 되듯이, 학교 선생님에게 ADHD인 것 같다는 얘기를 듣고 아이를 병원에 데려가면
대개는 ADHD 진단을 받고 약 처방을 받게 된다.
ADHD 약물치료에 반대하는 이유
그러나 ADHD 약물치료가 어떤 것인지 실제로 알게 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그렇게 쉽고 간단하고 별것 아닌 일이 결코 아니다.
ADHD 약물치료란 감기처럼 며칠 약 먹고 푹 쉬면 낫는 그런 게 아니다. 몇 주, 몇 달 동안 열심히 약을 먹으면 증세가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언제 진단을 받았든, 그 아이가 자라서 중학생 정도 될 때까지는 계속 먹어야 한다. 1~2년 먹는다고 나아지지 않고,
설령 10년, 20년 먹는다고 해서 낫게 하는 약도 아니다. 그 약이 병의 원인을 치료하거나 증상을 사라지게 만드는 '치료제'가
아니라 일시적으로 행동을 조절해 주는 '각성제'이기 때문이다.
ADHD의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고 따라서 치료제도 없다. ADHD 약물치료라고 부르지만 처방되는 약은 사실 치료제가
아니라 각성제다. 약효가 지속되는 시간 동안만 아이를 빠릿빠릿 정신 차리고 있게 해주는 각성제. 수면제를 먹으면 몇 시간 동안
푹 잘 수 있지만 불면증이 치료되지는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약을 먹었더라도 당장 오늘 아침에 약을 안
먹으면 아무 소용없는 그런 종류의 약이다. 뭔가 조금이라도 달라지고 호전되게 해주는 약이 아니라 단지 약효가 지속되는 몇
시간 동안만 약 기운에 취해 있도록 만드는 약이다. 그래서 ADHD 약은 원래 방학이나 휴일에는 먹지 않고 학교 가는 날 아침에만
먹는다. 이렇게 아이가 학교에 가 있는 동안 약 기운으로 가만히 지내도록 하는 것이 병원에서 말하는 ADHD 약물치료다.
ADHD 아이들에게 처방되는 약들은 코카인, 아편과 같은 등급으로 분류된 마약류에 속한다. 의사들은 용량을 정확하게 지키기만
한다면 중독 위험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어쨌든 마약류의 각성제다. 그것도 중독 위험이 매우 높은…. 설령 몸에 좋은 약이라
해도 여덟 살, 아홉 살짜리 아이들에게 몇 년씩이나 장기 복용시키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하물며 마약류의 각성제를 그렇게 오래
꾸준히 복용시키는 것이 정말로 위험하지 않은 일인가. 수험생들이 소위 '공부 잘하는 약'이라는 이름으로 ADHD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는 문제는 거의 해마다 기사화된다. 인터넷 검색창에 '공부 잘하는 약'이라고 쳐보면 이런 기사들이 수도 없이 뜬다.
언론 보도에서는 이 약이 마약 성분의 약이고 중독성이 있고 심각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ADHD가 아닌 아이들이 먹어서는
절대 안 된다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ADHD로 진단된 아이들은 이런 위험한 약을 먹어도 된다는 것인가. ADHD 아이들은 강철로
만들어져서 이런 약을 먹어도 위험하지 않다는 뜻인가, 아니면 위험해도 어쩔 수 없다는 것인가.
부작용도 엄청나다. 모든 마약이 그렇듯 이 약도 식욕과 수면욕을 억제한다. 식욕감퇴 효과가 얼마나 강력한지 성인 여성들이
오직 살을 빼려는 목적으로 ADHD 약 처방을 요구하는 일도 있다고 한다. 식욕감퇴와 불면증은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이다.
이 밖에도 어지러움, 메스꺼움, 두통, 초조함, 우울감, 잦은 울음, 경련, 틱이 나타날 수 있다. 성장호르몬 분비를 방해해서
발육을 억제한다는 의견도 있으며 면역체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ADHD가 아닌 아이들은 절대로 먹어서는 안 되는 이 위험한 약을 ADHD 진단을 받은 아이들은 먹어도 된다니 대체 무슨 논리일까.
한참 원기왕성하게 자라나야 할 나이에 식욕·수면욕을 억제하면서까지 이런 약을 먹어야 한다니, 이게 무슨 항암치료라도 되는 것인가.
사람이 죽고 사는 문제라도 된다는 말인가.
설령 위험한 약이 아니라고 치자. 부작용이 심각하지 않고, 건강을 해치지 않는 안전한 약이라고 할지라도, 아이에게 약물을 투여
해서 행동을 변화시키는 행위가 정당한 것인가. 아이 자신의 안전이나 생존에 필요해서가 아니라 사회와 학교, 부모의 사회적 목적에
맞게끔 아이의 신체에 약물을 투여해서 인위적인 작용을 일으키는 것은 한 인간으로서 아이의 존엄성과 주권을 침해하는 일이다.
그 아이가 성인이 되어 자기 자신의 판단과 의지로 우울증 약을 처방받아서 먹는 것과는 엄연히 다른 일이다. 아무리 부모라고 해도
아이에게 오직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할 목적으로 중추신경을 자극해 행동을 통제하는 약물을 투여할 권리는 없다.
누구를 위한 약물치료인가?
코카인과 같은 등급의 마약 성분 약을, 감당하기 어려운 부작용을 감수하면서, 중독의 위험을 무릅쓰면서, 한번 시작하면 끊지도
못하고 계속 먹어야만 한다면 그만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이 정도 위험부담을 무릅쓰고서라도 하지 않으면 안 될 절체절명의 이유가
있어야 한다. 그 절체절명의 이유란 무엇인가. 단지 학교를 다니기 위해서?
암에 걸리면 항암치료나 수술을 해서 문제를 해결한다. 항암제가 몸에 여러 가지 해를 끼치는 부작용이 있지만 모든 걸 감수하고
항암치료를 한다. 그걸 하지 않으면 죽으니까! 사람이 살고 죽는 문제니까! '사람을 살리기 위해'라는 목적이 있을 때 의사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하고 시도한다. 이게 의사의 입장이다. '학교생활을 원활히 하지 못하는 것'이 심각한
비정상이고, 이를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려놓아야 한다는 명백한 목적이 있을 때 의사는 그 목적에 맞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쓴다.
이 논리에서 의사의 입장은 정당하다.
아이가 학교생활을 잘하지 못하는 문제가 사람이 죽고 사는 문제처럼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반드시 해결되어야만 하는 절체절명의
문제라는 데 이미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졌다는 전제하에 ADHD 약물치료는 정당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이런 전제에선 의사는 당연히
부모가 여러 위험과 부작용을 감수하고 약물치료에 동의하리라 보고 별다른 절차 없이 약을 처방할 수 있다. 지금의 ADHD 약물치료
권장과 처방은 대부분 이런 전제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약물치료가 유일한 해결 방법이라고 말하는 의사들의 입장은 이렇듯 이미
동의가 이루어진 목적에 부합하는 '효과' 측면의 입장이다.
그렇다면 그 전 단계로 가보자. 그 '명백한 목적'이라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를 살펴보자. 약물이 됐든 뭐가 됐든 'ADHD가 치료되어야
한다'는 입장은 정당한 것인가? ADHD, 아니 이 에너지 넘치고 창의적이고 독특한 아이들이 문제가 된다고 보고, 그 문제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진 쪽은 학교다. 기존의 학교교육으로 통제되지 않는 대상과 함께하면서는 그동안 자기들이 해오던
대로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모든 경직되고 권위적인 조직은, 기존의 방식이 통하지 않는 영역이 있을 때, 자기들의 시스템을 변화시키거나 확장함으로써 해결
하려고 하는 대신 그 영역을 배제하는 쪽으로 해결하려고 한다. 학교라는 조직이 바로 그렇다. 학교는 기존의 시스템과 매뉴얼을
적용할 수 없는 영역을 '비정상'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의무교육 과정으로, 모든 국민을 받아들이고 소화해낼 수 있는 교육시스템이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공교육이란 말을 쓴다. 그런데 학교는 이러한 자기 정체성을 무시하고 뭔가 다른 것을 계속 배제하는 쪽을 택하면서 그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다른 것'들을 '비정상'으로 분류해버린다. 그럼으로써 자기들이 하고 있는 차별과 배제를 정당화하는 것이다.
기존의 시스템 속에 있는 교사들은 자기 개인의 노력으로 이 문제에 대처할 방법이 없다. 그들 역시 이 '거대한 지침'에 따라 기존
학교교육에 맞지 않는 아이들을 배제하고 소외시킬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학교는 옳고 당신의 아이가 비정상이니까 아이를
정상으로 고치라'고 부모에게 요구하게 된다. 실제로 부모들은 대개 학교 교사로부터 'ADHD가 의심된다'는 말을 듣고 처음 병원을
찾는다. 애초에 아이가 ADHD로 분류되고, '치료'되어야 하는 것도 모두 학교의 필요에 의한 것이다.
이렇게 'ADHD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 학교의 입장이고, '치료를 하려면 약물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 병원의 입장이다. 이 명백한
두 입장은 상충될 게 없다. 필요와 공급, 서로 맞아떨어지는 관계다.
그렇다면 부모의 입장은 어떤가. 학교에서 차분하고 빠릿빠릿하게 행동할 필요가 있는데 약을 먹어서 그 문제가 해결되면 그걸로
된 건가? 부모 입장에선 결코 그렇지 않다. 학교 교사야 아이가 학교에 와서 규율에 잘 따르고 아무 말썽을 일으키지 않으면 그걸로
문제가 해결된 것이겠지만 부모 입장에서는 그게 다가 아니다. 선생님 보기에 아무 문제없이 학급이 잘 돌아가면 우리 아이도 잘
지낸다는 건가? 그렇지 않다.
아이가 각성제 약효로 인해 긴장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선생님을 편하게 해줄 수는 있겠지만 그게 아이도 편안해졌다는 뜻은 아니다.
오히려 아이는 ADHD라는 꼬리표를 달고 편견과 차별, 부당한 대우를 받게 되고 더 힘들어할 수 있다. 게다가 부작용으로 인해
아이 자신은 훨씬 더 힘들고 피폐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을 수 있다.
선생님 입장에서 볼 때는 약물치료가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말귀 못 알아듣고 굼뜬 아이 한 명 때문에, 또는 툭툭 말을 내뱉고
함부로 일을 저지르는 아이 한 명 때문에 수업 활동에 지장이 있었는데, 그 아이가 약을 먹고 온 뒤부터는 한 번에 딱딱 아이들을
손쉽게 통제할 수 있다… 그러면 선생님 입장에서는 약물치료가 대단히 효과적이다. 학부모 면담에서 교사는 말한다.
"약물치료가 효과가 있네요."
그러나 약 기운에 의해 강제로 긴장되고 의욕이 저하된 채 살아가는 아이의 하루하루는 편안하고 문제가 없는 것이 결코 아니다.
아이의 건강과 (중독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내어주고 얻게 될 유익이 과연 그만한 가치가 있는지 되묻고 싶다.
* 위의 글은 <민들레> 85호 "교육, 마을에서 길을 찾다"에 실린 글입니다. (☞ <민들레> 바로가기)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30307165800
'자기계발·Self-Improv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터 E. 프랭클 (0) | 2013.03.27 |
---|---|
웨인 다이어 인터뷰 "백혈병과의 싸움... 그리고 깨달음" (0) | 2013.03.24 |
Gregg Braden: Power of Subconscious Mind Power... (0) | 2013.03.03 |
"자재력(自在力)" 시오야 노부오 (0) | 2013.02.05 |
Lao Tzu: "If You Are..." (0) | 2012.12.12 |